Move to Earn/NFT 투자 M2E

amazy 어메이지 NFT 채굴 방법 및 구매 방법, AMT 현금화 방법, AMAZY 스탯 분석

크립토백 2023. 7. 24.

 

오늘은 Amazy에 대한 분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망했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망하는 기준은 차트가 폭포수를 그리기도 하지만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일을 안 한다는 것입니다.

그래도 하는 이유는 그냥 예전에 하던 게 남아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아직은 돈이 아주 조금은 나오기는 해서 그냥 별생각 없이 하고 있습니다.

지금도 여러 M2E가 폭포수를 그리며 떨어졌지만 슈퍼워크처럼 반등을 하는 경우도 있기에 그냥 별생각 없이 하고 있습니다. 사실 다시 회생하기는 힘들 것 같다고는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냥 여러 M2E를 하고 있는데 그중 하나가 대박이 터지면 나머지를 커버하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어메이지 같은 친구들은 그냥 조금 돈 주는 앱테크가 된다고 생각을 하며 하고 있습니다.

만약 지금 진입을 하시고자 하신다면 한번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어차피 투자는 본인의 선택이기는 하지만 글을 쓰는 이유는 저처럼 지금도 여전히 하고 계시거나 나중에 정말 이게 어쩌다 다시 살아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기에 한번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amazy.io/

 

AMAZY

AMAZY is a lifestyle app that allows you to stay in shape and earn at the same time. Walk or jog in exclusive NFT sneakers inspired by your favorite bloggers & Influencers.

amazy.io

 

어메이지의 공식 홈페이지입니다.

 

https://discord.gg/cWGK27 Nv

 

AMAZY Discord 서버에 가입하세요!

Join the official Discord community of the AMAZY fitness app! | 멤버 171765명

discord.com

 

그리고 디스코드 채널입니다.

디스코드에서 일을 열심히 하는지, 그리고 저희 한국인 채팅방을 통해 어떠한 분위기인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amazy.step.challenge.game 

 

AMAZY Move2Earn Fitness App - Google Play 앱

독특한 AMAZY NFT 운동화를 구입하고 Web 3.0의 첫 단계를 시작하십시오.

play.google.com

 

어메이지의 다운로드 링크입니다.

 

어메이지의 경우 메일로 로그인을 하시면 됩니다.

어메이지의 조금 특이한 점은 홈페이지에서 신발을 구매하고 현금화도 홈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https://go.amazy.io/marketplace

 

Amazy Metaverse marketplace

Amazy Metaverse marketplace where you can buy and trade NFT characters, items and many more.

go.amazy.io

 

마켓플레이스에서 지갑을 연결하고 메타마스크 내에 있는 BNB로 신발을 구입을 하시면 됩니다.

어메이지의 ROI를 계산하기 전에 화이트 페이퍼를 통해 한번 계산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왕 하시는 거면 다른 M2E와 시간을 맞추는 게 좋더라고요.

 

 

어메이지의 경우 에너지 개념입니다.

5분 동안 하나의 에너지가 달게 되고, 에너지는 6시간마다 25%씩 9시 15시 21시 3시입니다.

스니커즈와 같은 시간대로 리필이 됩니다.

 

 

NFT 수량은 1, 3, 6, 10, 15, 25입니다.

레어리티에 따라 +1이 되는 흔한 M2E 구조를 따라가고 있습니다.

저는 레어 1 + 일반 8개를 가지고 있는데 그러면 에너지 9+1이 돼서 10이 되겠죠?

그러면 페이퍼상 50분입니다.

 

신발의 종류

 

 

워커가 레인저입니다.

그냥 걷기 용도로 쓰고 트레이너 가 Coacher라고 보시면 됩니다.

속도가 높으면 더 많이 채굴하는데 제 목표는 동시에 여러 개 돌리기니까 관리하기에는 워커가 가장 좋아 보입니다.

 

신발 구매 및 가격

 

메타마스크 지갑을 연결해 줍니다.

가입을 지금 하셔도 되고 가입하신 메일로 연결을 하셨다면 다음부터 메타마스크만 연동하셔도 됩니다.

 

 

신발 바닥 가격은 0.0199 정도네요.

그냥 0.02 BNB로 보겠습니다.

 7월 24일 현재 가격과 환율을 비교해 보니 0.02*241 BNB = 4.8달러 = KRW 6174원입니다.

6천 원 정도에 바닥가를 형성하고 있네요.

 

 

레어의 경우 러너나 조거는 사실 바닥가가 어디나 조금 낮죠? 저희가 실제로 쓸 워커나 트레이너의 가격은 0.1 BNB 정도의 가격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0.1 * 241 BNB = 24달러 = KRW 31000원이네요.

 

그러면 레어 1 + 일반 9의 세팅을 한번 계산해 보겠습니다.

24달러 = 4.8*9 달러 = 67달러 = 86000원 정도에 세팅이 가능합니다.

 

 

어메이지의 경우 최적화된 세팅을 하기에 자료가 너무 부족합니다.

사실 그렇게 시간을 쏟을 정도의 아웃풋도 나오지 않고 있고요.

그냥 제 경험치로 분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Lv24 정도이고 하루 96 AMT 채굴이 가능합니다.

수리비도 어느 정도 나가는 편입니다. 80 AMT 정도로 기준 잡고 잡으시면 됩니다.

저기 있는 스텟이 높아 보이기는 하지만 사실 계산을 해보면 그렇지는 않습니다.

아래에서 계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메이지 ROI

 

67달러 정도 투자를 하고 레벨을 어느 정도 올려뒀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가격은 6.5원이네요.

하루 80개 = 532원입니다.

86000원이 원금이니 161일 정도 ROI가 계산되네요.

5개월 이면 조금 안 좋은 M2E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이 amt는 너무 우하향이 심합니다. 다른 M2E에 비해 현저히 너무 심하고 계속 차트가 옆으로 기면 모을만할 텐데 그렇지가 않더라고요.

 

 

차트가 이런 것도 문제이기는 한데 기어 보이지만 기어가고 있지가 않습니다.

 

 

최근 6개월만 하더라도 31 -> 6.5원으로 지속적으로 빠지고 있습니다.

옆으로 기어가는 구조가 나오지 않는다면 이는 그냥 무한 우하향할 수밖에 없겠죠.

결론은 ROI도 계속 늘어난다는 것입니다.

저도 원래는 하루 1달러 정도가 꾸준히 나와 나쁘지 않았는데 점점 반토막 이상이 나더라고요.

그러면 타 m2e에 비해 조금 더 roi가 의미가 없겠네요.

 

그래도 5개월을 버틴다면 500원을 주는 앱테크가 탄생하는 거니 현금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메이지 현금화 방법

 

 

아까 마켓플레이스에서 지갑연결을 해두셨다면 지갑 연결된 부분을 클릭해 줍니다.

및에 목록이 나오실 텐데 Wallet을 클릭해 주시면 됩니다.

wallet에 채굴된 amt가 있는데 MAX를 클릭.

 

 

4번 클레임을 해줍니다.

그러면 일단 메타마스크에 amt가 들어가 있을 겁니다.

amt를 확인하시고자 하신다면 지갑에 컨트렉트를 추가해 주시면 됩니다.

 

컨트렉트 주소 추가가 어려우신 분들은 코인마켓캡에서 하셔도 됩니다.

코인추가를 하시지 않더라도 팬케이크 스왑을 통해 간단하게 현금화를 하실 수가 있습니다.

 

https://coinmarketcap.com/ko/currencies/amazy-move-token/

 

Amazy Move Token (AMT) 가격, 차트, 시가총액 | 코인마켓캡

The live Amazy Move Token price today is ₩6.55 KRW with a 24-hour trading volume of ₩1,179,602.73 KRW. We update our AMT to KRW price in real-time.

coinmarketcap.com

 

위의 사이트에 들어가셔서 BNB체인의 메타마스크를 줄러 토큰 추가를 해주시면 됩니다.

 

팬케이크 스왑에서 BNB체인의 코인들이 스왑이 가능한데, 사실 메타마스크 내의 스왑을 하셔도 됩니다.

그런데 자꾸 fail이 나와가지고 그냥 팬케이크 스왑에서 하시면 편합니다.

 

*주의사항 소량의 BNB코인이 있어야 합니다. 아주 소량만 있어도 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너무 애매하게 없다고 하시면 기위를 줄이셔도 BNB체인은 웬만하면 될 것입니다.

 

https://pancakeswap.finance/

 

팬케이크 스왑에 들어가셔서 트레이드를 눌러줍니다.

 

 

AMT를 선택하시고 BNB나 테더 저는 BNB를 다른 곳에서 쓰기에 그냥 BNB로 바꿉니다.

그냥 체인링크 같은 숙제를 하기에는 좋더라고요.

지갑끼리 옮기는 거는 BNB 정말 싸거든요.

그러면 아래에 sign을 한번 하시고 옆에 swap까지 두 번 트랙잭션을 주시면 바로 스왑이 가능합니다.

 

이제 메타마스크에 BNB가 있으실 텐데 바이낸스로 옮기셔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기본내용이 어려우시면 제가 글 조만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어머니지 스탯 분석

 

그러면 이 어메이지가 얼마나 노답인지 대충 아실 겁니다.

파이프라인 중에 우선순위는 아닌데 그래도 실제로 돈이 나오는 M2E이니 한번 계산해 보겠습니다.

 

레벨업 비용은 언커먼 1654개, 레어 2481개가 필요하네요.

만렙에 대한 부담은 조금 적은 것 같아요.

 

 

레벨 업다 추가 포인트는 커먼 3, 언커먼 5, 레어는 10이네요.

확실히 레어가 바닥가가 높은 만큼 괜찮기는 하네요.

기본 베이스에 10%가 가산되는 복리 구조입니다.

레벨이 높으면 높을수록 기하급수적으로 퍼포먼스가 증가하겠네요.

그 만큼 기본 베이스가 중요하겠네요? 만약 구매를 하신다면 기본 베이스를 확인해야 겠네요.

 

 

스텟은 Performance, fortune, joy, Durability가 있습니다.

매개변수를 한번 확인해 보죠.

 

 

이런 매개변수 계산하는 게 어려우신 분들이 많은데, 생각보다 어렵지 않습니다.

그냥 저 같은 친구가 분석하는 거 대충 기억하시면 됩니다.

 

AMT = EN (에너지와 연관이 있습니다) * P (스텟입니다) 여기에 승수로 kP1이 되어 있습니다.

여기서는 성능계수를 K로 두고 그에 따른 P를 기준으로 잡는 식인 것 같습니다.

 

KP2는 신발에 따른 상수값입니다.

그냥 뛰면 더 많이 주는데 그 이유가 여기 있는 거라고 보시면 됩니다.

 

KP3는 레인저 안에 1~6KM 이게 있죠? 속도마다 조금 다르다고 합니다.

이러한 조건을 주는 이유는 대부분 내 초과속도에서 벗어날 경우 0으로 만들어 버리기 위함이니 그냥 신경 안 써도 되겠네요.

 

Kd의 경우 듀레이션과 연관이 있는데 내구도가 50% 이하가 되면 채굴이 안 되는 경우가 있죠? 그러한 매개 변수입니다. 이것도 무시해도 되겠네요.

 

그러면 AMT에 살아있는 공식이 EN * P^KP1이네요.

신발도 어차피 레인저를 쓸거니 고정값입니다.

 

그러면 EN을 치고 들어가야겠네요.

JOY의 비율이 생각보다 영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JOY를 확인해 봐야겠네요.

 

 

기본 조이가 0일 경우는 30초에 0.1 에너지가 나간다고 합니다

300초 = 5분 = 1 에너지죠.

그런데 조이가 50이 되는 순간 매개변수가 변합니다.

30초 = 0.111 에너지 = 300초 = 5분 = 1.11 에너지

그래서 다른 M2E와 동시에 해도 어메이지가 일찍 끝나는 것 이었군요.

그런데 이게 뭔 상관이냐? 빨리 채굴되는 거죠.

이게 AMT와 무슨 연관이냐? 어차피 쓰는 에너지는 동일한데 빨리 채굴이 되니까 시간 측면에서 이득이라는 뜻이네요.

그러면 어차피 시간만 충분하다면 굳이 조이를 올릴 필요는 없겠네요.

그런데 여기서 칩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그런데 칩도 활성화되어 있지 않아요 나중에 어떻게 될지는 모르지만 지금 기준에서는 행운도 필요 없겠네요.

 

바로 듀레이션을 계산해 봐야겠네요.

 

여기서 확인해 볼 만한 것은 역시 EN이 들어가 있는데 조이가 아주 최소한 있으면 그래도 나쁘지는 않아 보입니다.

전체적으로 세팅을 하는데 도움이 되기는 하는데 계산을 해봐도 엄청 큰 영향은 없으니 역시 스텟은 P와 D인 것 같습니다.

D가 깨지는 비율도 코스트 비율도 결국은 D의 영향이 있습니다.

Kd1의 승수로 D가 올라가니 D가 높아지면 역시 파괴되는 것도 줄어듭니다.

비용을 보면 100 - D입니다. 여기서 Lv이 높으면 그만큼 비용이 많이 드는 구조입니다.

그런데 D가 높다면 이 또한 줄어들겠죠.

D에 대한 비용이 제법 들겠습니다.

어차피 K의 조정값이 들어가기에 스텟이 무한히 높아도 직관적인 체감은 받기 힘든 구조네요.

 

결론은 역시 P인가? 어느 정도의 D가 필요하며 최소한의 J 있으면 좋고 없어도 상관없다입니다.

이유는 어차피 레벨을 올리는데 부담이 없으며 기본 베이스에 10%씩 가산되어 올라갑니다.

그러면 어느 정도 효율이 받쳐 준다는 것이겠죠. 최소한의 비율이 올라가니 JOY도 올라가게 됩니다.

최소 50은 넘게 됩니다.

그런데 여기서 P를 올리면 좋지만 D가 변수입니다.

다른 M2E에 비해 듀레이션에 대한 부담이 있습니다.

어느 정도 D의 투자가 필요하며 만약 레어의 신발이라면 이것도 무시해도 되겠죠.

럭신을 신을 거라면 그냥 럭을 다 올려버리는 게 좋을 것이고, AMT를 채굴한다고 하신다면 P 스텟의 일부는 D에 투자해도 효율 좋다고 생각합니다. P를 극단적으로 올려버려도 오히려 효율이 좋은데 어중간하다면 차라리 D에 투자를 하는 게 ROI에 도움이 되겠네요.

 

결론은 관리좀 하자 AMAZY.

댓글